[21.1.4]
1. 가상머신
- 사용중인 OS에 또다른 OS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가상의 컴퓨터, 이미 사용중인 OS를 호스트OS, 가상머신에 설치할 OS를 게스트OS라고 한다.
-멀티부팅과는 개념이 다르다.
가상머신 소프트웨어
- 가상머신을 생성하는 소프트웨어이다.
-가상머신 소프트웨어의 종류로는 대표적으로 VMware, VirtualBox, Parallels 등이 있다
- 실습에서는 VMware(Pro, workstation)을 이용한다.
* VMware 특징(가상머신 장점)
- 1대의 컴퓨터만으로 다른 OS의 환경을 이용하거나 실무환경과 거의 비슷한 네트워크 컴퓨터 환경을 구성가능하다.
- 운영체제의 특정시점을 저장하는 스냅숏 기능을 사용할 수 있다.
- 호스트 OS의 하드웨어 구성에 종속되긴하나 게스트 OS에서 하드웨어를 간편하게 구성할 수 있다.
// VMware workstation의 설치과정은 생략하도록 하겠다.
*실습문제*
-다음 사양으로 4개의 가상머신을 구성
- 조건에 맞도록 4대의 가상머신을 구성한다.
OS는 가상머신 생성후 별도로 설치예정.
가상머신의 경로를 설정해준다.
각 가상머신마다 아래와같이 설정을 해준다.
- 서버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드라이브를 모두 제거해주었다.
- Workstaion Pro를 이용한다면 다음과 같이 가상머신의 네트워크환경을 수정할 수 있다.
Linux(CentOS) 설치 시 필수설정
- 가상머신의 설정에서CD/DVD드라이브에 CentOS이미지 파일을 마운트 시키고 부팅한다.
- 언어 및 국가, 키보드 레이아웃 등 를 기본적인것들을 설정해주고 파티션을 설정해준다.
- 네트워크를 연결해준다.
- 이후 설치를 진행하면서 root사용자 및 일반사용자를 생성해준다
- 모든 설치를 마친뒤 재부팅하여 키보드 레이아웃 밍 디스플레이 설정 등 커스텀 설정을 마무리해준다.
- 다음 과정을 통해 가상머신의 네트워크에 고정IP를 할당해 줄 수 있다.
>>터미널실행
- 재부팅 후 ifconfig ens160 명령으로 네트워크 정보를 확인해본다.
'클라우드 아키텍트 양성과정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IL.21.1.4 ~ 21.1.6] Linux(CentOS) 프로그램, 패키지 설치, 압축 및 묶기 외 (0) | 2021.02.13 |
---|---|
[TIL.21.1.4 ~ 21.1.6] Linux(CentOS) 필수개념과 명령어 (0) | 2021.02.13 |
[TIL.21.1.7 ~ 21.1.14] JQuery 연습 (0) | 2021.02.08 |
[TIL.21.1.7 ~ 21.1.14] HTML 실습문제 (0) | 2021.02.01 |
[TIL.21.1.7 ~ 21.1.14]인터넷과 웹 (0) | 2021.02.01 |
댓글