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클라우드 아키텍트 양성과정

리눅스(CentOS) 저장소 관리 실습

by 종바깅 2021. 4. 26.
  1. 디스크 파티션 관리 (MBR)

    • /dev/sdb 장치를 MBR 파티션 방식으로 초기화하시오 (fdisk 사용)

    • /MBR 디렉토리를 생성하고, 서브디렉토리로 part1, part2, part3을 생성하시오.

    • /dev/sdb 장치에서 1~3번 파티션을 각각 1GB 용량으로 생성하시오.

    • 1번 파티션을 xfs로, 2번 파티션을 ext4로, 3번 파티션은 ext2 로 초기화하시오.

    • 각 파티션 번호에 따라 /MBR/part1, /MBR/part2, /MBR/part3 경로에 마운트하시오.

    • sdb 장치에서 새로운 1G 파티션을 두 개 생성하시오.

        - /dev/sdb 장치를 MBR 파티션 방식으로 초기화하시오 (fdisk 사용)
        # fdisk /dev/sdb
      
        - /MBR 디렉토리를 생성하고, 서브디렉토리로 part1, part2, part3을 생성하시오.
        # mkdir -p /MBR/part{1..3}
      
        - /dev/sdb 장치에서 1~3번 파티션을 각각 1GB 용량으로 생성하시오.
         최종적으로 만들어야 할 파티션의 개수를 파악 : 1G X 5개
         주 파티션 X 3 + 논리파티션 X 2 = 5개
         논리 파티션 사용하기 위해서 확장 파티션 생성(4번)
      
        - 1번 파티션을 xfs로, 2번 파티션을 ext4로, 3번 파티션은 ext2 로 초기화하시오.
        # mkfs -t xfs /dev/sdb1
        # mkfs.ext4 /dev/sdb2
        # mkfs -t ext2 /dev/sdb3
      
        - 각 파티션 번호에 따라 /MBR/part1, /MBR/part2, /MBR/part3 경로에 마운트하시오.
        # mount /dev/sdb1 /MBR/part1
        # mount /dev/sdb2 /MBR/part2
        # mount /dev/sdb3 /MBR/part3
      
  1. 디스크 파티션 관리 (GPT, fstab, swap)

    • /dev/sdc 장치를 GPT 파티션 방식으로 초기화하시오 (gdisk 사용)

    • /GPT/swapdir 디렉토리를 생성하시오.

    • /dev/sdc 장치에서 1번 파티션을 1G로 생성하고, 이 파티션을 스왑 파티션으로 생성하시오.

    • 1번 스왑 파티션이 재부팅 후에도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하시오.

    • /dev/sdc 장치에서 2번 파티션을 5G로 생성하고, 이 파티션을 xfs 파일시스템으로 초기화한 후, /GPT/swapdir 디렉토리에 마운트하시오. 이 디렉토리는 재부팅 이후에도 마운트되어 있도록 구성하시오.

    • /GPT/swapdir 디렉토리에 대략 500MB 용량의 파일을 생성한 후, 이 파일을 스왑 파일로 변경하여 스왑으로 등록하시오.

        - /dev/sdc 장치를 GPT 파티션 방식으로 초기화하시오 (gdisk 사용)
        # gdisk /dev/sdc
      
        - /GPT/swapdir 디렉토리를 생성하시오.
        # mkdir -p /GPT/swapdir
      
        - /dev/sdc 장치에서 1번 파티션을 1G로 생성하고, 이 파티션을 스왑 파티션으로 생성하시오.
        # mkswap /dev/sdc1
      
        - 1번 스왑 파티션이 재부팅 후에도 연결되어 있도록 구성하시오.
        /etc/fstab
        UUID=a3e35055-9551-45d6-8a64-32712032bd59    swap    swap defaults    0 0
        swapon -a 로 확인
      
        - /dev/sdc 장치에서 2번 파티션을 5G로 생성하고, 이 파티션을 xfs 파일시스템으로 초기화한 후, /GPT/swapdir 디렉토리에 마운트하시오. 이 디렉토리는 재부팅 이후에도 마운트되어 있도록 구성하시오.
        # mkfs -t xfs /dev/sdc2
        /etc/fstab 내용추가
        UUID=d46b213e-3925-4481-8b42-267f4cb5bb87       /GPT/swapdir    xfs     defaults        0 0
        mount -a 로 확인
      
        - /GPT/swapdir 디렉토리에 대략 500MB 용량의 파일을 생성한 후, 이 파일을 스왑 파일로 변경하여 스왑으로 등록하시오.
        # dd if=/dev/zero of=/GPT/swapdir/swapfile bs=1M count=500
        # mkswap /GPT/swapdir/swapfile
        # file /GPT/swapdir/swapfile
        # chmod 600 /GPT/swapdir/swapfile
        # swapon /GPT/swapdir/swapfile
  1. LVM 관리

    • /mylv 경로를 생성하시오.

    • /dev/sdd~ /dev/sdf 장치를 PV로 초기화하시오

    • /dev/sdd, sde 장치를 사용하여 vg_test 볼륨그룹을 생성하시오

    • vg_test 볼륨 그룹에서 15G 용량의 LV를 생성하시오. LV의 이름은 lv_test로 지정하시오

    • /dev/sdd 장치를 볼륨그룹에서 제외하시오. 필요시 /dev/sdf 장치를 볼륨 그룹에 추가하시오.

    • lv_test 논리볼륨을 xfs로 초기화 한 후, /mylv 에 마운트하시오.

    • lv_test 논리볼륨의 크기를 2G 추가하시오. 이 때 파일시스템의 크기도 함께 증가되도록 실행하시오.

        - /mylv 경로를 생성하시오.
        # mkdir /mylv
      
        - /dev/sdd~ /dev/sdf 장치를 PV로 초기화하시오
        # fdisk /dev/sdd
        # fdisk /dev/sde
        # fdisk /dev/sdf
        ⁕ 전체 용량을 사용하는 하나의 주 파티션 생성
        ⁕ 파티션 타입은 Linux LVM (8e, 8e00(gdisk)) 로 설정
        # pvcreate /dev/sdd1
        # pvcreate /dev/sde1
        # pvcreate /dev/sdf1
      
        - /dev/sdd, sde 장치를 사용하여 vg_test 볼륨그룹을 생성하시오
        # vgcreate vg_test /dev/sdd1 /dev/sde1
      
        - vg_test 볼륨 그룹에서 15G 용량의 LV를 생성하시오. LV의 이름은 lv_test로 지정하시오
        # lvcreate -n lv_test -L 15G vg_test
      
        - /dev/sdd 장치를 볼륨그룹에서 제외하시오. 필요시 /dev/sdf 장치를 볼륨 그룹에 추가하시오.
        용량이 부족하므로 먼저 확장이 필요
        # vgextend vg_test /dev/sdf1
        # pvmove /dev/sdd1
        # vgreduce vg_test /dev/sdd1
      
        - lv_test 논리볼륨을 xfs로 초기화 한 후, /mylv 에 마운트하시오.
        # mkfs -t xfs /dev/vg_test/lv_test
        # mount /dev/vg_test/lv_test /mylv
      
        - lv_test 논리볼륨의 크기를 2G 추가하시오. 이 때 파일시스템의 크기도 함께 증가되도록 실행하시오.
        # lvextend -L +2G /dev/vg_test/lv_test -r 

댓글